정부 복지 지원 정책바로 신청하기

속도위반 과태료 조회 방법 및 벌점 기준

속도위반 과태료 조회 방법 및 벌점 기준 정보를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일반 속도위반 과태료도 비싸지만, 어린이보호구역 속도위반 과태료도 무시못할 정도인데요.
우리나라에서는 도로교통법에 따라 속도가 정해져 있는데요.
예를 들어 일반도로는 50km/h, 시외 고속도로에서는 100km/h 구간이 있습니다.
물론 30, 40, 60, 70, 80, 110 구간도 있죠. 이를 초과할 경우 과태료와 벌점이 부과됩니다.

속도위반-과태료-조회

속도위반 과태료 조회

1. 속도위반 속도 단속 기준

실제 차량 계기판 속도와 네비게이션 속도는 차이가 있는데요.
대략 10km 속도의 차이를 두고 있습니다.

제한속도단속속도
60km 이하+11km
70 ~ 90km 이하+15km
100km 이하+22km

저는 고속도로로 출근하지 않고 일반도로를 이용해서 출근을 하는데요.
대부분 속도가 50~60km 구간입니다.
차량 계기판으로 69km 정도면 찍히지는 않았습니다.

2. 속도위반 과태료 금액

정해진 규정속도를 위반했을 때, 몇 km를 초과 했는지에 따라 과태료 금액이 다릅니다.
벌점은 따로 부과되지 않습니다.

초과속도승용차승합차
20km 이하4만원4만원
40km 이하7만원8만원
60km 이하10만원11만원
60km 초과13만원14만원

예를 들어 100km 이하로 달려야 하는 구간에서 20km를 초과했다면 승용차 기준 4만원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그리고 정해진 기간안에 과태료를 납부하지 않는다면 가산금이 붙고, 최대 227,500원까지 가산금을 내야 할 수도 있습니다.

3. 교통단속 범침금 그액

초과속도승용차승합차벌점
20km 이하4만원4만원없음
40km 이하7만원8만원15점
60km 이하10만원11만원30점
60km 초과13만원14만원60점
면허정지 60일

암행순찰차라고 들어보셨죠.
도로를 달리다보면 암행순찰에 잡힌 운전자를 종종 볼 수 있는데요.
이럴때는 과태료가 아닌 범칙금이 부과됩니다.
추가로 벌점을 받게 되는 것이죠.

4. 과태료 범칙금 차이

그렇다면 과태료와 범칙금은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 범칙금
‘도로교통법’을 위반한 범칙자가 통고처분에 따라 국고 또는 제주특별자치도의 금고에 내야 할 금전을 말합니다.
범칙금제도는 범칙자로 인정하는 사람에 대해 이유를 분명하게 밝힌 범칙금 납부를 통고하고, 그 통고를 받은 자가 10일 이내에 이를 납부한 경우에는 해당 범칙행위에 대해 다시 벌 받지 않고, 납부하지 않았을 때에는 즉결심판 절차가 진행되는 ‘도로교통법’에 따른 제도입니다.

– 과태료
과태료란, 국가 또는 공공단체가 국민에게 과하는 금전벌을 말하는데, 형벌이 아니고 일종의 행정처분입니다.
따라서 형법총칙의 규정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잘 이해가 가진 않지만, 신호 및 주정차 위반, 카메라 단속 등에 걸린 것은 과태료이고, 경찰관이나 암행순찰에 직접 걸리면 범칙금+벌점 이라고 이해했습니다.

5. 어린이보호구역 단속 기준 과태료

초과속도승용차승합차
20km 이하7만원7만원
21~40km 이하10만원11만원
41~60km 이하13만원14만원
61km 이상16만원17만원

일반 속도 위반 단속 과태료보다 어린이보호구역 속도 위반 과태료가 더 비싸고, 20km를 초과했을 때부터는 벌점이 부과됩니다.

6. 속도위반 과태료 조회 방법

속도위반-과태료-조회-방법

속도위반 과태료 조회 방법은 ‘경찰청교통민원24‘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조회할 수 있습니다.

속도위반 과태료 조회

조회 바로가기

당일 조회가 안될 수 있으니 다음날에도 다시 한번 더 조회해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속도는 본인의 삶을 위해서라도 지키며 운전하시길 바랍니다.

함께 보면 좋은 정보

모바일 건강보험증 발급 방법 | 병원 약국 신분증 필수

2024 경기청년 갭이어 지원 대상 및 신청 방법 | 1인 최대 500만원

청년문화예술패스 | 15만원 받기 | 대상 및 신청 방법

상수도 요금조회 및 요금납부 방법 | 고객번호 확인

출산휴가급여 신청 방법 및 지원 대상 | 자격 조건 및 지원금 내용

2024 서울청년문화패스 | 20만원 지원 대상 및 신청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