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복지 지원 정책바로 신청하기

인터넷 전입신고 방법 | 온라인 간편 신고

인터넷 전입신고 방법 | 온라인 간편 신고 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전입신고란, 새로운 곳으로 이사를 했을때 즉, 거주지를 옮겼을 때 해당 거주지역 관할 행정복지센터 또는 동사무소 등에 알리는 절차입니다.

이전에는 직접 방문했어야 했지만 이제는 인터넷으로 간편하게 전입신고를 할 수 있는데요.
오늘은 그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인터넷-전입신고-방법

1. 인터넷 전입신고 방법

전입신고는 ‘정부24′ 홈페이지‘에서 신청하시면 됩니다.
먼저 정부24 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

1-1. 정부24 접속

접속 후 아래 이미지와 같이 화면을 아래로 내리면 ‘전입신고+‘라는 메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해당 메뉴를 선택합니다.

온라인-전입신고-방법

1-2. 전입신고 신청 클릭

그럼 화면이 아래와 같이 이동합니다.
여기서도 화면을 아래로 내려 ‘신청‘버튼을 클릭합니다.

전입신고-인터넷-방법

1-3. 로그인 및 유의사항 확인

공동인증서 또는 금융인증서 등으로 로그인을 하라는 화면이나옵니다.

간편인증 등 원하는 수단으로 로그인 후 유의사항 확인란에 “예”를 체크하고 확인을 누릅니다.

1-4. 정보입력

1단계부터 3단계까지 정보를 입력하는 화면이 나옵니다.

1단계는 신청인의 이름과 연락처, 전입사유 등의 내용을 입력합니다.
2단계는 이사오기 전에 살던 곳, 이사 가는 사람의 정보를 입력합니다.
3단계는 새로 이사 온 곳의 정보를 입력합니다.

여기까지 했다면 거의 다 끝났습니다.

이제 신청 버튼을 클릭하면 ‘전입신고’가 완료됩니다.

전입신고 후 세대주 확인 하기

전입신고를 했다면 올바르게 했는지 해당 주소지에 세대주가 내가 맞는지 확인해야겠죠.

세대주 확인 방법도 간단합니다.
똑같이 정부24 홈페이지에서 확인하면 되는데요.

전입신고-후-세대주-확인
  1. 정부24 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
  2. 상단의 ‘민원서비스‘ 메뉴를 클릭합니다.
  3. 하위 메뉴에서 ‘사실/진위 확인‘ 메뉴를 클릭합니다.
  4. 여러 메뉴가 나오는데 여기서 ‘세대주 확인‘ 메뉴를 클릭합니다.
  5. 성명, 주민등록번호, 인증서를 통해 확인하면 되겠습니다.

전입신고 후 해야 할 일

전입신고 후 우편물을 이사한 곳으로 받아야 하잖아요.

전입신고 신청 후 다양한 여러 추가서비스를 신청할 수 있는데 유료입니다.
사회적 배려 대상자는 요금감면이 있습니다.

전입신고 후 완료 상태까지는 1~2일 정도가 소요되며, 확인은 정부24 로그인 후 My GOV 메뉴에서 나의 신청내역 메뉴를 통해 확인하시면 되겠습니다.

함께 보면 도움되는 글

📌타워크레인 자격증 취득방법 | 실기 필기 시험 과목 | 하는 일

📌경기도 치매 무료 검사 | 스마트인지검사

📌국민취업지원제도 | 구직 촉진 수당 | 취업활동비용 | 신청 및 대상

📌2024 건강검진 대상 조회 및 병원 찾기

📌손목닥터9988 신청 대상 자격 및 방법 | 1포인트에 1원 적립